티스토리 뷰

반응형

스미싱 문자 구분하려면, 공식 번호부터 확인하세요

2025년 현재, 은행을 사칭한 문자와 전화 사기가 여전히 기승을 부리고 있다. 이럴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진짜 은행 번호인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번 글에서는 국내 주요 은행들의 공식 고객센터 대표번호를 한눈에 정리해 제공한다.


은행별 고객센터 번호표 (2025년 최신)

은행명 대표 고객센터 번호 해외에서 전화 시
국민은행 (KB) 1588-9999 +82-2-6300-9999
신한은행 1577-8000 +82-2-3420-7000
우리은행 1588-5000 +82-2-2006-5000
하나은행 1588-1111 +82-2-6300-1111
NH농협은행 1661-3000 +82-2-2080-3000
IBK기업은행 1566-2566 +82-31-888-8000
카카오뱅크 1599-3333 +82-2-1599-3333
케이뱅크 1522-1000 +82-2-1522-1000
토스뱅크 1661-7654 +82-2-1661-7654
SC제일은행 1588-1599 +82-2-3702-5000

번호 확인할 때 반드시 체크할 포인트

 

1. 010, +82, 짧은 번호로 온 문자는 사칭일 확률 높음

은행은 절대로 010 또는 개인 번호로 문자나 전화를 보내지 않는다. 대표번호는 대부분 1588, 1566, 1599처럼 고정된 숫자 패턴을 갖는다.

 

2. 번호 저장된 것처럼 보여도 직접 검색해서 확인

최근에는 연락처에 저장된 것처럼 보이게 꾸민 사칭 번호도 있다. '은행 공식 번호'라고 저장되어 있어도 직접 은행 홈페이지나 이 글처럼 공식 번호가 정리된 페이지에서 다시 확인하는 습관이 중요하다.


결론 및 요약

의심되는 문자나 전화를 받았다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직접 은행 공식 고객센터 번호로 전화해서 확인하는 것이다. 이번 글에서 제공한 정보는 각 은행의 2025년 기준 공식 번호로, 사칭 피해를 막기 위한 1차 필터가 되어줄 수 있다.

번호 하나만 정확히 알아도, 보이스피싱이나 사칭 문자로부터 내 정보와 자산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다.

LIST
최근에 올라온 글
반응형